-
ResponseEntity스프링 프레임워크 2019. 12. 22. 15:06
@Setter @Getter @ToString public class ApiResponseMessage { // HttpStatus private String status; // Http Default Message private String message; // Error Message to USER private String errorMessage; // Error Code private String errorCode; public ApiResponseMessage() {} public ApiResponseMessage(String status, String message, String errorMessage, String errorCode) { this.status = status; this.mes..
-
스프링 어노테이션카테고리 없음 2019. 11. 22. 17:59
@Controller,@RestController - 전통적인 Spring MVC 컨트롤러와 Restful 웹서비스 컨트롤러의 주요 차이점은 HTTP Response Body가 생성되는 방식이다. 기존의 MVC 컨트롤러는 view기술을 사용하지만 Restful 웹서비스 컨트롤러는 객체를 반환하기만 하면 객체 데이터는 JSON/XML 형식의 HTTP 응답을 직접 작성하게된다. 다시 정리하자면 @Controller의 주용도는 view(화면)을 리턴하는 것이고, @RestController는 데이터를 리턴하는 것이 주용도하고 할 수 있다. 물론 @Cotroller의 경우 메서드에 @ResposeBody를 사용하여 객체를 리턴할 수도 있다. Spring MVC의 전통적인 Work Flow Controller(B..
-
즉시 실행 함수, 내부 함수자바스크립트,제이쿼리 2019. 11. 15. 00:12
즉시 실행 함수 (function (name) { console.log('this is the immediate function -> ' + name); })('foo'); 괄호 안에 값을 추가해 즉시 실행 함수의 인자로 넘길 수가 있다. 예제의 경우는 ('foo')로 즉시 실행 함수를 호출했으며, 이떄 ''foo'를 인자로 넘겼다, 이 값은 앞 예제 즉시 실행 함수의 name 매개변수로 넘겨지게 된다. 즉시 실행 함수의 경우에는 같은 함수를 다시 호출할 수 없다. 따라서 즉시 실행 함수의 이러한 특징을 이용하낟면 최조 한 번의 실행만을 필요로 하는 초기화 코드 부분 등에 사용할 수 있다. 즉시 실행 함수는 자바스크립트 라이브러리나 프레음워크 소스들에서 사용되는데 이유는 자바스크립트의 변수 유효 범위 특..
-
-
자바스크립트 프로토타입자바스크립트,제이쿼리 2019. 10. 18. 16:08
참고 [Javascript ] 프로토타입 이해하기 자바스크립트는 프로토타입 기반 언어라고 불립니다. 자바스크립트 개발을 하면 빠질 수 없는 것이 프로토타입인데요. 프로토타입이 거의 자바스크립트 그 자체이기때문에 이해하는 것이 어렵고 개념도 복잡합니다. medium.com 클래스가 없는 객체지양언어 자바스크립트 자바스크립트는 자바와 같은 객체지향언어입니다. 하지만 JS에는 클래스가 없고 프로토타입이라는 것이 존재합니다. 클래스가 없으니 상속기능이 없지만 프로토타입으로 상속을 흉내내도록 구현되어있습니다. 프로토타입의 사용 자바스크립트에는 클래스가 없지만 함수(function)와 new를 통해 클래스를 비슷하게 흉내낼 수 있습니다. function Person() { this.eyes = 2; this.nos..
-
@RequestParam과 @PathVariable의 사용스프링 프레임워크 2019. 10. 17. 15:37
컨트롤러에서 값을 전달해 줄 때 URL에 파라미터를 같이 전달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주로 사용하는 형태는 아래의 두가지입니다. 1. http://127.0.0.1/read?index=1&page=2 2. http://127.0.0.1/index/1 첫번째의 경우 파라미터의 값과 이름을 함께 전달하는 방식으로 게시판 등에서 페이지 및 검색 정보를 함께 전달하는 방식을 사용할 때 많이 사용합니다. 두번째의 경우 Rest api에서 값을 호출할 때 주로 많이 사용합니다. Spring에서는 이러한 전달인자를 처리하는데 두 가지 방식을 제공합니다. @Requestparam 사용 첫번째는 @RequestParam을 사용하는데 아래의 예제와 같이 컨트롤러에서 사용합니다. @GetMapping("read") publi..